순창은 옛부터 지명이 옥천(玉川)고을로 불릴 정도로 물이 좋은 고장이며 이곳 순창의 맑은 물과 기름진 토양에서 생산된 고추, 콩, 찹쌀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고추장을 담근다.
섬진강은 전북의 동부를 남류하여 진안의 팔공산에서 시작하여 임실과 순창을 경유하여 경남 하동군과 전남 광양시 경계에서 남해로 흘러드는 우리나라에서 4번째로 큰 강으로 길이 225km, 유역넓이 4489평방 킬로를 가진 맑은 수질을 자랑하는 중요하천이다.
섬진강은 진안군에 있는 팔공산(해발 1151)의 북쪽 1080고지 서쪽계곡에서 발원하여 서류하다가 임실군에 이르러 운암저수지를 이루고 순창군, 곡성군, 구례군을 남동류하여 하동군과 광양군 경계에서 광양만으로 흘러든다.
이 강의 상류에서 옥종호까지를 조원천, 순자강이라 부르며 주요 이류로는 정읍에서 합류되는 추령천을 비롯, 일중천(임실), 오수천(순창), 심초천(순창), 경천(순창), 요천(남원), 수지천(남원), 황전천(구례), 횡천강(하동) 등이 있다.
또한 섬진강 유역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소백산계 편마암층, 지리산계 편마암층으로 된 변성암과 이들 암석층을 뚫고 올라온 화강암이 분포하고 있으며 순창 등지에는 중생대 대보 화강암과 백악기 화강암이 주로 나타난다.
순창 전통 고추장은 이처럼 맑고 깨끗한 섬진강 상류의 지하 암반수를 사용하여 제조되어 진하고 깔끔한 뒷 맛을 보인다.
순창의 맑은 물과 기름진 토양에서 생산된 재료를 사용하여 전통의 방법으로 담근다.
우리나라의 토양 온도권은 온대권(8∼15℃)과 열대권(15∼20℃) 으로 압축된다.
온대권의 상한계와 열대권의 하한계 토양온도는 토심 50cm의 연평균 토양온도에서 15℃인데, 이처럼 토양온도 15℃에 의해 구분되는 온대권과 열대권이 경계를 이루는 지역은 고창 - 순창 - 남원 - 하동 - 사천 - 진양 - 함안 - 김해 - 양산 - 울주 - 영일군을 연속하는 선이다.
여기에서 경계선 북쪽은 온대권 그리고 남부는 열대권으로 분류할 수 있다. 순창은 바로 온대권과 열대권의 경계를 이루는 지역의 토양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비옥한 토양에서 키운 국산 농산물(고추, 찹쌀, 콩)을 사용하여 순창 전통 고추장이 제조된다.